학술논문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Association KSDIM

논문투고규정

1. 투고 자격

본 학회지의 투고는 제 1저자와 교신저자가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원인 경우로 한하며, 청탁 기고와 편집위원회가 인정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2. 게재 범위

방사선학과 의료영상에 관련된 기초 또는 임상 적용의 연구결과로 타학회지에 동일한 내용으로 게재되지 않은 원저(original article), 종설(review article), 기술보고(technical report), 증례보고(case report) 등으로 한다. 학회의 홍보 및 보고자료 등은 학회장 또는 편집위원장의 요청 시 게재할 수 있다.

3. 원고 제출

원고 작성은 Microsoft사의 Word를 원칙으로 하며, Microsoft사의 Word가 불가능한 경우 한글(HWP) 을 사용할 수 있다. 원고는 디지털 화일과 출력본 1부을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 시 논문 제목, 저자의 성명, 소속 및 연락처(전화번호 및 Fax, E-mail 주소), 그리고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의 성명, 소속 및 연락처(전화번호 및 Fax, E-mail 주소)를 포함시켜야 한다.

4. 논문 접수

논문 접수는 연중 수시로 하며, 접수 창구는 학회 홈페이지에서 수시 접수하며, 학술이사는 접수된 논문을 관리한다. 제출된 논문은 본 학회지에 투고하기 이전에 공개출판물에 중복 발표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5. 논문 심사 및 채택

모든 투고논문의 심사 및 채택여부, 게재 순서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하며 학회지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내용은 수정 보완 또는 일부 삭제를 권유하거나 게재를 보류 또는 거부할 수 있다.

6. 원저 논문의 작성요령

1) 논문의 작성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한다. 한글로 작성 시 의학용어의 번역은 대한의학협회발간 의학용어집에 수록된 것을 준용한다. 한글 논문인 경우 한자를 병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번역어가 없는 의학용어, 고유명사, 약품명, 단위 등은 원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번역어가 있으나 그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그 용어가 최초로 사용될 때 번역어 다음의 괄호 속에 원어를 표기하고 그 다음부터는 번역어만 사용한다.


2) 영문 약어의 사용은 최소화하며 최초 사용 시 원어를 풀어서 표기한 다음 괄호 안에 약어를 쓴다. 그리고 기계 및 약품의 경우 괄호 안에 제조회사, 도시 및 국적을 기입한다. 단위는 SI unit(Gy, Sv 등)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원고작성 시 A4 크기의 용지에 상하좌우의 여백은 Word(또는 HWP)의 기본 Default 형식에 따르며, 바닥글 중앙에 첫 페이지부터 순서대로 쪽수를 기록한다.


4) 한글 논문의 작성 순서는 먼저 국문과 영문으로 논문 제목, 저자의 성명 및 소속을 기록한 후, 영문초록을 작성한다. 그 밑으로 국문 본문을 작성하고 마지막에 국문 초록을 첨부한다.


5) 영문 초록은 Purpose,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Conclusion, Key words 순으로 기술한다.

영문 초록은 1,000 단어 이내로 작성하며, 약어 사용이나 참고문헌 인용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Key Words는 5개 이내로 한다. 또한 아래의 예와 같이 저자명의 영문표기는 Full Name으로 표기하고 First Name과 Middle Name 사이에 하이푼(-)을 사용하며, 복수저자인 경우 저자명 사이에 가운데 점을 삽입하고 소속이 다른 경우 어깨번호 표시를 추가한다.

(예) Dong-Yoon Ha ? Pyung-Gon Cho* ? Ki-Hong Kim**


6) 국문 초록의 경우 1,000자 이내로 기술하며 제목, 저자의 성명 및 소속, 목적, 대상 및 방법, 결과, 결론의 순으로 작성하며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 첨부한다.


7) 본문의 작성 순서는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의 순으로 한다. 영문 사용 시 문단의 첫머리는 대문자를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고유명사와 약어 등을 제외하고 소문자를 사용한다. 본문 내용은 10 폰트를, 글씨체는 바탕을 사용한다.


8) 본문의 내용에서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의 경우 괄호없이, 반괄호, 양괄호, 동그라미의 순으로 적용하며, 그 이하에서는 알파벳에 동그라미를 입힌 모양을 사용한다.

(예) 1. CT 장치의 정도관리 방법

1) 정도관리용 장치 및 기구

(1) Ionizatiom Chamber

① Ionizatiom Chamber의 구성

ⓐ 표시 모니터


9) 본문 내의 표(Table)와 그림(Figure)은 영문과 아라비아 숫자로 기술하며, 본문에서 인용되는 순서대 로 번호를 붙인다. 표의 제목은 윗부분의 좌측에, 그림의 제목은 아랫부분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표와 그림의 제목은 명료하게 절 혹은 구의 형태로 기술하며 약어 사용 시 해당표 및 그림의 하단에 풀어서 설명한다. 그림의 경우 동일번호에서 2개 이상의 영상이나 사진인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괄호를 사용한 알파벳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

(예)
Figure l(a)
Figure 1(b)


10) 영어 단어(또는 한글)와 괄호 사이는 붙여쓰기, 수치와 단위 사이는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한다.

(예) Thermo-luminescence dosimeter(TLD)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

24.1 mGy, 7.3 cm


11) 본문 내의 식은 아래의 예와 같이 표기한다.

(예) Ideal body weight(kg) = (Height(cm) - 100) × 0.9 (식-1)


12) 논문의 제목은 논문의 내용을 간결 명료하고 함축성 있게 표시해야 하며, 국문 30자 이내, 영문은 30 단어 이내로 한다. 논문 제목이 영문이거나 영문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각 단어의 첫 스펠링은 대문자를 사용하고 14 폰트의 굵은 고딕체를 사용한다.


13) 서론 부분에서는 간결하고도 명료하게 연구 목적을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논문의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 포함한다.


14) 대상 및 방법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시행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즉,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와 수집 및 분석 방법 등에 관해서 기술하며, 실험방법이 주안점인 경우 독자가 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과정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충실하게 서술한다.


15) 결과에서는 대상 및 방법에서 관찰하고 분석한 연구결과를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나열한다. 실험인 경우 실측치의 변동이 많은 결과가 발생되면 통계처리를 원칙으로 한다. Table을 사용할 경우 본문에 Table의 내용을 중복 기술할 필요는 없으나 주요한 경향 및 강조사항, 요점은 재 기술할 수 있다.


16) 고찰 부분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및 이에 연관된 다른 자료와 비교하여 연관 해석한다. 새롭고 중요한 관찰을 강조하며, 결과의 내용을 중복 기술하지 않는다. 관찰된 소견의 학술적 의미 및 제 약점을 기술한다.


17)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의 내용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도출된 사항을 요약하되, 이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내용이어야 한다.


18)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반드시 인용된 것에 한하며, 새 페이지에 인용된 순서대로 아라비아 숫 자 번호와 함께 기록한다. 공저자가 많을 경우 3명까지 기재하고 한글인 경우 등, 영어인 경우 etal을 첨가한다. 참고문헌의 표기는 다음의 예에 따르며 본문에는 반괄호의 어깨번호(윗첨자)를 기재한다. 이때 어깨번호가 문미에 위치될 경우 마침표나 쉼표 앞에 표기한다. 참고문헌 작성순서는 일반적으로 저자명, 논문 제목, 잡지나 책명, 발행년도, 인용 페이지 순으로 한다.


(참고문헌 표기의 예)


1. 정기학술지의 논문을 인용했을 경우

저자명. 제목. 학술지명 발행년도;권수(호수):페이지 수-페이지 수 순으로 표기한다.

(예) 1. 한동균, 남윤철, 이대규 등. 특수의료장비에 관한 정도관리의 이론과 실제. 대한전산화단층기술 학회지 2003;5(2):53-59.


2. Bush WH, Swanson P, Kweon DC, et al. Acute reaction to intravascular contrast media: type, risk factors, recognition, and specific treatment. Am J Rontgenol(또는 AJR) 2007;151:1132-1139.


2. 단행본을 인용했을 경우

저자명. 서명 및 판차. 출판지. 출판사명 발행 년도:페이지 수-페이지 수 순으로 표기한다.


(예) 1. 김문찬. 최신 CT영상기술학, 이론 및 QC편. 청구문화사 2007:411-435.


2. Eisen HN. Immunology. An introduction to molecular and cellular principle of the immune response, 5th ed. New York. Harper and Row publishing company 2007:312-339.


3. 단행본에서 하나의 Chapter를 인용했을 경우

저자명. Chapter명. 다음에 In: 을 사용하여 편집인명. 서명 및 판차. 출판사명 발행년도: 페이지 수-페이지 수 순으로 표기한다.

(예) 1. Ashok K, Thames RC. Altered fractionation oncologic schedule. In: Perez CA, Brady LW, Christoph Suess, et al. Principles and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Co. 2006:85-99.


4. 원저 이외의 원고

1) 종설은 특정 제목에 초점을 맞춘 고찰로서 편집위원회에서 위촉하여 게재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증례보고는 원저 논문 작성요령에 준하며 가능한 간결 명료하게 작성하며, 대상 및 방법을 대신하여 증례보고를 기술하고 결론 항목은 따로 기술하지 않는다.